도커 옵션들
--interactive |
컨테이너의 표준 입력(stdin)을 활성화. (주로 -it 함께 사용) |
-t --tty |
tty(가상 터미널)을 할당. 리눅스에 키보드를 통해 표준 입력(stdin)을 전달할 수 있게한다. (주로 -it 함께 사용) |
--name | 컨테이너 이름을 지정. |
-d --detach |
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로 실행. |
--rm | docker run 명령어가 끝나면, 컨테이너 자동 삭제. |
-p --publish |
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 (포트포워딩). -p <호스트 포트>:<컨테이너 포트> ex) -p 80:8888 - 호스트에 8888로 접속하면, 컨테이너 내부의 80포트로 자동 접속. |
-v --volume |
호스트와 컨테이너의 디렉토리 연결(마운트) -v <호스트 절대경로>:<컨테이너 절대경로> ex) -v /Users:/usr. - 컨테이너 /usr에 저장하는 파일은 호스트의 /Users 디렉토리에 저장. |
--restart | 컨테이너 종료시, 재시작 정책 설정 --restart="always" : 항상 재시작 --restart="on-failure" : 종료 스테이터스가 0이 아닐 때 재시작 * --rm 옵션과 --restart 옵션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. |
--privileged | 컨테이너 안에서 호스트의 리눅스 커널 기능을 모두 사용 |
(--와 -의 차이는 단축어면 -를 쓰고 풀네임이면 --를 쓴다고 한다.!)
삭제 시 stop 후 rm
nginx 테스트
mysql 실습
-dit 처럼 d,i,t를 동시에 쓸 수 있고,
-e 옵션으로 환경변수를 줄 수 있다.
그림과 실습으로 배우는 도커 &쿠버네티스 - 시게타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