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전 프로젝트에서는 환경변수를 하드코딩식으로 local에 올렸었는데 (aws서버에서도),
이번엔 .env 파일 + application.yml 조합으로 해봐야겠다.
그러기 위해서 가장 쉬운 방법이 dotenv라이브러리 활용이다.
.env을 만들고 .gitignore에 설정만 해주는 아주 간단한 작업!
build.gradle

.env
반드시 쌍따옴표를 붙이고 써야한다.
JWT_SECRET_KEY="[YOUR KEY]"

그리고 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에 static으로 추가해주면 된다!
package me.hanjun;
import io.github.cdimascio.dotenv.Dotenv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data.jpa.repository.config.EnableJpaAuditing;
@SpringBootApplication
@EnableJpaAuditing
public class 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 {
static {
Dotenv dotenv = Dotenv.load();
dotenv.entries().forEach(entry ->
//{
// System.out.println("Loaded env: " + entry.getKey() + "=" + entry.getValue());
System.setProperty(entry.getKey(), entry.getValue())
//;
)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SpringBootDeveloperApplication.class, args);
}
}

(주석 부분은 의존성 디버깅하면서 확인해본 부분)
'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로그 만들기 -Oauth2구글에 요청이 자동으로 간다고? (0) | 2025.03.31 |
---|---|
블로그 만들기 - cookie와 util 클래스를 static으로? (0) | 2025.03.30 |
블로그 만들기 - controller test (ObjectMapper) (0) | 2025.03.29 |
블로그 만들기 - jwt TokenProvider 테스트 오류 (0) | 2025.03.26 |
블로그 만들기 - spring Security 로그아웃 (0) | 2025.03.20 |